진리를 살아내는 삶
진리는 치열한 교리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삶을 변화 시키고 건강하게 세워주는 역할/기능도 해야한다. 그렇게 보면 교리란 형이상학적이고 고차원의 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매일 살아가는 삶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작금의 개신교는 저급한 고등종교가 되어 삶은 사라지고 종교적인 시스템만 남아 있는 것 같다. 삶을 변화 시키지 못하는 진리는 진리로서의 힘을 상실한 것이며, 그런 능력을 상실한 교회는 종교적인 시스템으로 그것을 대체하게 된다.
건강한 삶, 건강한 관계가 없는 신앙이 판을 치고 있다. 하나님과의 관계도 건강하지 않고, 내 자신, 내 이웃과의 관계도 건강하지 않다. 여기 저기 성벽들은 무너져 있고, 많은 원수들이 마음대로 들어와 우리의 삶을 짓밟고 있다. 우리는 다시 진리로 무너진 성벽을 세우고, 성문을 달아야 한다. 이것은 정체성의 문제이기도 하고, 가치와 세계관, 경계선의 문제이기도 하다. 진리는 (건강한) 성벽을 쌓게 만든다. 그것은 (건강한) 정체성을 고양 시키고, 삶(관계)에서 무엇을 받아들이고 무엇을 내보내야 하는지(거절해야 하는지) 알게 해 준다. 그것은 외부의 여러 공격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해 준다. 최종적으론 성문을 열어 환영과 사랑과 돌봄이 필요한 사람에게 자신을 진심으로 내어준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 교회는 진리로 혐오와 배타와 정죄를 생산해 낸다. 문을 꼭꼭 걸어잠그고 어느 누구도 못 들어오고, 어느 누구도 못 나가게 만들고 있다. 그것은 진리를 알고 살아내는 자의 모습이 아니다. 진리는 죄를 죄 되게 하고 그 죄를 미워하게 한다. 동시에 그 타락한 세상 안으로 들어가 자신을 내어주며 섬기고 사랑하게 만든다. 진리를 통해 하나님을 알고, 그 분의 놀라운 사랑을 누리고 있기에 죄악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지만, 동시에 자신을 기꺼이 내어줌으로 진리를 보여주고 나눈다.
이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가 우리의 몸에 있는 피부이다(헨리 클라우드, 노라고 말할 수 있는 그리스도인). 피부의 기능은 구분과 분리이다. 더불어 무엇을 내어보내야 하는지, 무엇을 받아들여야 하는지를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진리도 우리 안에 동일한 역할을 한다. 진리는 우리의 정체성을 만들어 준다. 진리는 우리를 보호한다. 그러나 항상 닫혀만 있는 것이 아니다. 진리는 무엇을 수용해야할지, 무엇을 거부해야할지를 알려 준다. 다시 말하면 성벽, 성문과 같은 것이다.
요즘 한국 교회는 양극단의 모습을 보여 준다. 한쪽 진영은 성문을 꼭꼭 걸어잠그고, 누구도 나가지도 들어오지도 못하게 만든다. 성 안쪽에 있지만 않으면 무조건 적을 간주하고 공격한다. 그렇게 해야지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한다. 성 밖은 너무도 위험하고 타락한 곳이라만 가르친다. 다른쪽 진영은 성문이나 성벽 자체가 아예 없다. 누구든지 무엇이든지 환영하고 받아들인다. 적군인지 아군이지 피아식별 조차 하지 않는다. 정체성도 없고 기준도 없다. 구원 받았다고 하지만 세상 사람들과 별반 다른 것이 없어 보인다.
진리는 건강한 경계선과 관계를 만든다. 오늘날 한국 교회에 무엇보다 그런 진리가 진정으로 필요하다. 혐오와 배타를 넘어, 절대적 진리라는 것 자체가 사라지고 있는 세상 속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세상 속에서 함께 살아가는 삶이 무엇인지를 배우기 위해 진리를 제대로 알고 경험해야 한다. 삶이 없는 고차원적인 지식만을 습득하는 것이 기독교의 진리를 배우는 것이 아니다. 진리는 삶의 자리로 내려와야 하고, 삶의 문제를 진솔하게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오늘날 우리에게 그런 신학적이고 성경적인 작업이 목회 현장 속에서 시작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