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즈미야 = 에스라 + 느헤미야
어제부터 주시는 마음이 있어서 에스라-느헤미야를 읽고 묵상하고 연구하고 있다(이하 에즈미야). 원래 에즈미야는 두 권이 한 권의 책인데, 정경화 과정 중에서 두 권(에스라, 느헤미야)로 나뉘었다. 그렇다면 에즈미야가 말하는 핵심은 내용은 무엇인가? 두 말 할 필요도 없이 ‘성전 재건’이다. 느헤미야를 통해서 (눈에 보이는) 예루살렘 성벽이 재건 되었고, 에스라를 통해선 (눈에 보이지 않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율법이 재건되었다. 그것을 기초로 해서 두 번째 성전이 솔로몬 성전 때에 똑같은 방법, 똑같은 모습으로 다시 세워지게 되었다.
우리는 보통 성전 재건이라고 하면,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눈에 보이는 그리고 솔로몬에 의해서 세워진 성전의 모양대로 다시 세우는 것만을 생각한다. 하지만 에즈미야를 통해선 그것보다 더 넓은 시각을 제시한다. 단순히 성전의 재건만이 진정한 성전 재건이 아니라는 것이다. 성전이 있는 예루살렘 성 전체의 재건과 그 성 안에 살고 있는 하나님의 백성 이스라엘 공동체가 하나님의 말씀(율법) 앞에 다시 거룩하게 재건되는 것까지 성전 재건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 일을 위해 하나님은 느헤이먀와 에스라를 사용하신다. 느헤미야는 포로생활 중에 태어나서 페르시아 제국의 고급 관료가 된 사람들이다. 소위 그는 자수성가한 사람이다. 하지만 그는 제사장 가문 출신이거나 선지자 출신이 전혀 아니다. 반대로 에스라는 서기관이면서 동시에 제사장 가문 출신이다. 그는 누구보다 하나님의 말씀(율법)에 능통 했으며, 누구보다 그 말씀에 자신의 삶을 드려 순종 했던 사람이다. 하나님은 이런 사람들을 사용하셔서 무너진 성벽과 하나님을 향한 신앙을 재건하신다.
여기서 우리가 놓치면 안 되는 것이 하나이다. 두 사건의 공통 분모가 존재하는데, 그것이 바로 하나님을 향한 신앙과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이다. 에스라-느헤미야를 통해서 계속 강조되고 반복되는 것은 살아계신 하나님을 향한 신앙(경외하는 마음)과 그 분의 말씀에 대한 반응이다. 예를 들어 느헤미야서의 첫 이야기는 조카 하나니를 통해 예루살렘의 근황에 대해서 들은 느헤미야의 반응이다. 그는 하나님을 향해 금식하며 기도하는데, 그 내용이 바로 하나님과 맺은 언약이자 율법이었다.
그렇다면 에즈미야를 이렇게 정리할 수 있다.
1. 하나님
2. 하나님과 맺은 언약, 율법
3. 성전 재건
4. 이스라엘 공동체(정체성)
5. 예루살렘 성벽 재건
요즘 복음자리 교회(공동체)를 놓고 기도하는 시간을 갖고 있다. 사람의 문제에서부터 시작해서 건물과 땅의 문제까지 해결하고 기도해야 할 내용들이 너무 많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지 고민도 깊어지고 생각도 많아진다. 감사한 것은 에즈미야를 통해서 성령님이 명확하게 말씀하신다. 무엇을 위해서 기도해야 하며,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지 말이다. 땅이 성전이고, 건물이 성전이며, 사람이 성전이다. 신앙의 회복은 통합적이고 총체적인 것이며, 그 본질은 하나님을 향한 믿음과 진리와 그 진리에 대한 반응이다. 교회를 세운다는 것은 사람만을 말하는 것도, 건물만을 말하는 것도 아니다. 그 모든 것이 총체적으로 연결된 유기적 공동체를 세우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