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한 말씀 : 창세기 13:1~18
1. 하나님의 놀라운 개입으로 오히려 큰 재산(집짐승과 은과 금)을 얻어서 네겝 지역을 거쳐서 다시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돌아왔다. 그곳은 베델과 아이 사이에 있는 곳으로 이집트로 내려가기 전에 머물렀던 곳, 처음으로 제단을 쌓고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며 예배를 드리던 곳으로 다시 돌아왔다. 이것은 단순히 처음 상태로 되돌아 왔다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처음 이집트로 내려갈 때와 다시 벧엘로 올라올 때의 아브람은 많은 것들이 달라졌다. 먼저 눈에 보이는 변화는 엄청난 부자가 되어 돌아왔다는 것이다. 더불어 하나님에 대한 새로운 경험과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그는 하나님이 어떻게 자신의 문제와 상황 가운데 개입하셔서 역사히시는지 목도했기 때문이다.
2. 그러니까 12:7~8에 제단을 쌓고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며 예배를 드리던 때와 13:4에서 다시 제단을 쌓고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며 예배를 드리던 때와는 완전히 다른 믿음과 경험을 가지게 된 것이다. 이것을 확인시켜 주는 사건이 바로 이어지는 이야기이다. 이집트로 다녀온 이후로 급격하게 불어난 집짐승들 때문에 아브람과 롯의 목자들 사이에 갈등이 생겼다. 전에는 집짐승의 수가 그리 많지 않았기 때문에 우물이나 목초지 때문에 다툼이 없었다. 하지만 너무 갑자기 집짐승의 수가 늘었고, 제한된 공간 안에 같이 있으려고 하니 다툼과 갈등이 일어나게 된 것이다. 이때 아브람의 결정과 선택이 그가 달라졌음을 확인케 한다. 아브람은 롯에게 놀라운 제안을 한다. “네가 왼쪽으로 가면 나는 오른쪽으로 가고, 네가 오른쪽으로 가면 나는 왼쪽으로 가겠다.”
3. 롯의 아버지 하란의 죽음으로 롯은 아브람에게 입양 되었을 것이고, 아브람은 하란을 대신하여 아버지의 역할을 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선택의 우선권은 당연히 어른인 아브람에게 있었다. 하지만 아브람은 그 우선권을 롯에게 양보한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아브람은 눈치와 계산, 상황 판단이 빠른 사람이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충분히 롯이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예측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아브람은 그것을 롯에게 양보한다. 그럴 수 있었던 것은 이집트에서 하나님의 개입과 일하심을 눈으로 직접 목도했기 때문이다. 이때 롯은 물이 넉넉한 요단강 지역, 곧 소돔과 고모라 지역을 선택한다. 인간적인 눈으로 보기에 지금 살고 있는 산간지역(벧엘과 헤브론 지역 모두) 보다는 넓은 평지가 있고 요단강이 흘러서 물이 풍부한 그곳이 좋아 보였던 것이다.
4. 이렇게 아브람과 롯은 서로 다른 길로 간다.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단순히 목초지와 우물의 문제로 서로 갈라지는 것만을 말하지 않는다. 어쩌면 기근의 문제로 이집트에 내려간 것과 같이 인간적인 기준과 판단을 따라 소돔과 고모라 지역을 선택하느냐? 척박하고 부족하지만 하나님의 약속이 있는 가나안 땅을 서택하느냐? 믿음의 선택과 결정의 문제였다. 아브람은 가나안 땅에 머물기를 선택한다(롯보다 우선권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집짐승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쩌면 그것이 하나님의 테스트(test)였는지 모른다. 성경을 보면 하나님은 자신을 보이시고 드러내신 다음 – 인간 편에선 하나님을 경험한 다음 – 그 하나님을 만나고 경험한 사람들의 믿음을 테스트(test) 하시는 경우가 자주 있다. 아브람은 그런 하나님의 테스트에서 하나님을 따르기로 선택한다.
5. 그러자 하나님은 롯이 떠난 뒤에 바로 아브람에게 말씀하신다. 핵심은 두 가지이다. 땅과 자손이다. 지금 아브람이 있는 곳이 산지였기 때문에 동서남북을 바라볼 수 있었다. 하나님은 다시 눈에 보이는 모든 땅을 아브람과 그의 자손들에게 주시겠다고 약속하신다. 더불어 아브람의 자손들이 땅의 먼지처럼 많아질 것이라고 말씀하신다. 이것은 구약 전체로 연결되는 동시에 신약과 이어지는 핵심 주제이다. 하나님은 계속해서 아브람에게 땅과 자손을 약속하신다. 그러면서 하나님의 약속하신 그 땅을 길이로도 걸어 보고, 너비로도 걸어 보라고 명령하신다. 이 명령을 들은 아브람은 곧바로 벧엘에서 헤브론으로 옮겨서 그곳에서 다시 제단을 쌓고 예배를 드린다. 이후로 아브람에게 일어난 사건과 지명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의 삶 자체가 하나님의 약속을 이루어가는 통로이자 모델이기 때문이다.
6. 우리는 이것을 통해 믿음으로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배우게 된다. 하나님의 약속을 붙잡고 들어온 가나안 땅은 그렇게 넉넉하거나 풍부한 땅이 아니다. 아브람이 살던 우르에 비하면, 나일강이 흐르는 이집트 땅과 비교하면, 또한 롯이 선택한 소돔과 고모라 지역을 보면, 지금 아브람이 서 있는 땅은 산간지역으로 목초지와 물이 절대적으로 부족했고, 우기와 건기에 맞추어서 내리는 비에 절대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지역이었다. 하지만 아브람에게는 하나님의 약속이 있었다. 아브람은 선택해야 했다. 눈에 보이는 상황, 인간적인 판단과 계획을 따라 살 것인가? 하나님과 그 분의 말씀을 의지해서 살 것인가? 현실에 압도되고 함몰되어 살 것인가? 말씀을 가지고 현실을 해석하며 말씀을 따라 살 것인가? 우리는 매일 선택하고 결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