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한 말씀 : 창세기 26:1~11
1. 아브라함의 이야기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이 있다면, 아내 사라를 자신의 누이라고 속이는 사건이 두 번이나 기록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아들 이삭의 이야기에서도 논란이 되는 부분 중의 하나가, 아버지 아브라함과 똑같은 사건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오늘 본문을 보면 이삭은 브엘라해로이에 머물고 있었다. 그런데 그 땅에 아브라함 때와 똑같이 큰 흉년이 들었고, 이삭은 그 흉년을 피해 블레셋 땅 그랄로 내려갔다. 문제는 이삭이 아버지 아브라함과 똑같은 고민과 걱정이 있었고, 그것을 똑같은 방법으로 해결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이삭은 자신의 부인 리브가의 외모가 너무 아름다워서 자신을 죽이고 아내를 빼앗아 가는 일이 벌어질까 불안하고 두려웠다. 이때 이삭이 선택한 해결책은 리브가를 자신의 누이라고 사람들에게 소개하는 것이다.
2. 아브라함의 이야기와 차이점이 있다면, 블레셋 왕 아비멜렉이 리브가를 아내(후궁)로 취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이야기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이삭이 그랄 땅에 오래 거주하며 살았는데, 어느 날 아비멜렉이 창밖을 내려다 보았는데 이삭이 리브가를 껴안은 장면을 목격한 것이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결국 두 사람의 관계가 남편과 아내라는 것이 밝혀졌고, 그렇게 자신들을 속인 것에 대해서 아비멜렉은 이삭을 추궁한다. 더불어 모든 백성들에게 이삭의 아내 리브가를 범하지 말라고, 이 명령을 어기는 자는 죽일 것이라고 경고한다. 그렇다면 아브라함과 이삭에게서 반복되는 이 사건들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 한 가지 사건인데 서로 다른 사건인 것처럼 각색을 한 것일까? 분명한 것은 비슷한 사건이긴 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 개의 사건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
3. 그렇다면 본문은 무엇을 강조하는 것일까? 우리가 놓치지 말아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그랄로 내려간 이삭에게 여호와께서 나타나셔서 약속하신 말씀이다. 여호와 하나님은 이삭에게 다음과 같이 명령하시고 약속하신다. 첫째, 애굽(이집트)로 내려가지 말라. 둘째, 여호와께서 명령하신 땅(그랄)에 거주하라. 셋째, 그러면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약속하신 그 복을 주겠다. 여기서의 복은 아브라함에게 주신 약속과 동일한 것이다. 많은 자손과 땅을 주겠다는 것이다. 더불어 많은 민족이 그들을 통해서 복을 받게 될 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한 가지 조건을 필요로 한다. 그것은 여호와의 말씀에 순종하고 그 명령과 계명과 율례와 법도를 지키는 것이다.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서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복과 약속과 명령이 이삭에게도 동일하게 반복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것을 이루어 가시는 과정과 방법도 동일할 것이다. 하나님이 아브라함을 다루시고 인도하신 것과 동일하게 이삭도 다루시고 인도하실 것이다.
4. 지금 이삭은 어떤 상태인가? 오늘 본문을 보면 이삭은 커다란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다.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말씀을 받고 그랄로 내려갔음에도 불구하고 이삭은 지금 죽음에 대한 커다란 두려움에 사로잡혀 흔들리고 있다. 그 결과 이삭은 자신의 아내 리브가를 누이라고 속인다. 자신 앞에 놓인 문제를 인간적인 꾀와 방법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거짓말은 오래 가지 못한다. 금방 탈로가 나며, 아비멜렉에게 추궁을 듣게 된다. 이것을 통해 확인되는 이삭의 모습은 너무도 소심하고 나약하다. 하나님의 약속을 받고 그랄로 내려갔음에도 불구하고 눈에 보이는 상황들과 인간의 염려들이 하나님의 복과 약속보다 더 크게 보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렇게 이삭은 흔들리고 무너졌다. 하지만 강조점은 거기에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런 이야기의 강조점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약속을 이루어 가시는 하나님에게 있다.
5. 또한 그런 과정들을 겪으면서 믿음의 성장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다. 믿음은 언제 어떻게 성장하는가?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그 약속을 이루어가심을 보았을 때이다. 아브라함의 이야기가 그러했다. 계속해서 흔들리고 무너지는 아브라함에게 하나님은 신실하게 그 약속을 어떻게 이루어 가시는지를 보여주셨고, 하나님을 계속해서 경험할 수 있도록 일하시고 인도하셨다. 이삭도 동일하다. 이삭도 아브라함이 겪었던 것을 동일하게 경험함으로 여호와 하나님을 알아가는 과정과 시간을 갖게 된다. 약속하신 그대로 이루어 가시는 분은 하나님이시며, 그 신실하신 하나님께 신실함으로 반응하고 순종하는 삶이 되도록 하나님이 만들어 가신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것을 믿음의 성장이라고 부른다.